높은 빌딩과 국회의사당 사이에 위치한 여의도공원은 언제나 많은 시민들로 북적입니다.
평화로운 금요일 오후,
잠시 후 이곳에 비행기 한 대가 이륙할 것입니다.
날이 어두워지고 C-47 비행기 전시관은 스크린으로 변했습니다.
바로 이곳에서 ‘소년 광복군’의 비행이 시작됩니다.
미디어 파사드로 재탄생한 우리 독립운동 이야기가 C-47 비행기 위에서 상영이 되었는데요.
소년 광복군이 만주벌판을 누비고 무장투쟁을 벌이는 이야기를 보기 위해 많은 시민들이 여의도공원을 찾아주셨습니다.
씩씩하고 당차게 독립운동을 펼치는 소년 광복군은 1:1000으로 일본군과 맞서 싸운 김상옥 의사의 모습을 본따 탄생하였습니다.
그리고 이 소년 광복군이 위기에 쳐했을 때 구해준 비행사는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비행조종사 권기옥 선생이기도 합니다.
1945년 8월 18일
1945년 11월 23일
광복군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이 타고 온 C-47 비행기에 우리 독립운동사가 펼쳐지고 독립운동가들의 사진이 띄워진 모습이 새삼 감격스럽고 뭉클하기까지 했습니다.
이 날 멋진 공연을 펼쳐 준 배우 심현서 군은 큰 소리로 외쳤습니다.
“김구 선생님! 김규식 선생님! …”
소년의 목소리를 듣고 C-47 비행기 안에서 독립운동가들이 하나하나 걸어나오기 시작하였습니다!
시민위원310 중 청소년, 청년으로 구성된 청색100 친구들이 임정요인 15인 역할을 맡아 걸어나온 것인데요.
실제 독립운동가가 살아돌아온듯 한 광경에 많은 시민들이 박수를 보내준 순간이었습니다.
청색100 친구들도 진지한 마음과 자세로 역할에 임해주었습니다.
어린이역사합창단의 압록강 행진곡을 듣고
독립운동가 후손들이 하나 둘 앞으로 나와 소감을 말하였습니다.
김구 선생, 이회영 선생, 조소앙 선생, 윤봉길 의사, 권기옥 선생, 김상옥 의사 등 후손들은 광복군 4명이 여의도비행장에 착륙한 날 밤, 일본군 대령이 따라준 항복주를 받은 것처럼
그 날을 재연하고 시민들과 함께 ‘항복주 퍼포먼스’를 재연하기도 하였습니다.
사진출처 : THE FACT 포토(https://goo.gl/6jLDLa)
이날 김용만 시민위원310 단장은 윤경빈 선생을 생각하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하였습니다.
윤경빈 선생은 김구 선생의 경호를 맡으시는 등 광복군 총사령부에서 활동을 하며 1945년 11월 23일 C-47 비행기를 타고 환국하신 독립운동가이십니다.
서울시가 광복 70주년 기념으로 여의도공항에 처음 C-47 비행기를 가져다 놓았을 당시 참석하여 주셔서 ‘항복주’를 받으시고 비행기도 탑승해보셨습니다.
2018년 3월 8일 선생의 별세 소식은 우리를 안타깝게 하였는데요.
분명 <어느 소년 광복군의 비행>을 보셨다면 참 좋아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.
거대한 역사가 흘러가는 것을 느끼며 이럴수록 3·1운동 100주년도 잘 준비해야겠다는 각오를 해봅니다.
미디어 파사드 <어느 소년 광복군의 비행>이 마무리된 이후에는
<내가 만든 움직이는 100년> 공모전 시상식이 이어졌습니다.
항일 역사를 시민들이 직접 자기 손으로 표현하고 현재화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었던 공모전이었습니다.
특히 역사에 관심이 높지 않은 젊은층의 참여가 높았으며 어린 아이까지 수상을 하여 뜻깊은 순간이었습니다.
어느덧 C-47 비행기가 여의도공항에 자리한 지도 햇수로 4년차 입니다.
많은 시민분들과 독립운동가 후손이 다녀갔습니다.
독립운동가를 부르는 콘서트도 열렸고 예술가들의 실험적인 작품을 상영하였으며 수 차례의 토크콘서트도 진행했습니다.
그리고 올해는 우리 독립운동사 명장면을 모아 멋진 애니메이션으로 구성하여 미디어 파사드라는 장르로 시민들에게 선보였습니다.
앞으로 어떤 이야기들이 C-47 비행기 전시관을 통해 시민들에게 소개될까요?
아직까지 유일한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공간 C-47은 3·1운동 100주년 너머까지도 비행할 계획입니다.